전체 글

(아직은) 공부하고 정리하는 블로그입니다.
블록체인 업계에서 핫했던 '밈 코인 발행 플랫폼'을 우리 회사에서도 개발하게 되었다.~블록체인 플랫폼 실시간 ohlcv 차트 개발기 시리즈~[1] 실시간 ohlcv 차트(캔들 차트) 데이터 적재 서버 개발 in 블록체인 플랫폼 - Part 1. 문제편[2] 실시간 ohlcv 차트(캔들 차트) 데이터 적재 서버 개발 in 블록체인 플랫폼 - Part 2. 해결편[3] 블록체인 플랫폼 실시간 ohlcv 차트 적재 서버 후속편: Refactoring[4]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실시간 ohlcv 차트 적재 서버 후속편: Restructuring 개요 '밈 코인 발행 플랫폼'이란 사용자가 쉽게 자신만의 토큰을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로, ERC-20이나 SPL 토큰 표준을 활용해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 지식..
Go로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포인터와 슬라이스를 사용했을 때 '말도 안되는' 버그를 마주치게 될 때가 있다.그 사건들을 차례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문제 상황아래와 같이 주기적으로 호출되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코드가 있다.type Token struct { Symbol string ... IsListed bool PairIdentifier string}func (o *TokenManager) refreshTokenData(tokens []*Token) error { o.tokenMutex.Lock() defer o.tokenMutex.Unlock() updatedTokens := make(map[string]*Token) for _, token := range tok..
면접에서 질문을 받았을 때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 개념이다.내가 평소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분야이긴하지만 알고 싶었던 분야이므로, 공부 겸 정리해보았다.우리는 웹 페이지를 어떻게 보는가?로컬의 HTML 파일 -> 브라우저로 열게됨 (폴더의 경로 = 웹페이지 경로) 하나의 컴퓨터, 로컬에서 웹페이지를 열 때에는 이 로컬에 있는 브라우저를 그대로 열 수 있음즉, 파일의 위치만 알면됨 근데 우리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사람의 브라우저, 컴퓨터로 HTML 열 때는? remote URL(외부에 위치한 HTML을 가리키는 경로)을 알아야함.브라우저에 입력해서 들어가볼 수 있음 로컬(내부)에서 열면 file 프로토콜, remote URL(외부)은 http 프로토콜 사용프로토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한 장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