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에서 질문을 받았을 때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 개념이다.내가 평소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분야이긴하지만 알고 싶었던 분야이므로, 공부 겸 정리해보았다.우리는 웹 페이지를 어떻게 보는가?로컬의 HTML 파일 -> 브라우저로 열게됨 (폴더의 경로 = 웹페이지 경로) 하나의 컴퓨터, 로컬에서 웹페이지를 열 때에는 이 로컬에 있는 브라우저를 그대로 열 수 있음즉, 파일의 위치만 알면됨 근데 우리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사람의 브라우저, 컴퓨터로 HTML 열 때는? remote URL(외부에 위치한 HTML을 가리키는 경로)을 알아야함.브라우저에 입력해서 들어가볼 수 있음 로컬(내부)에서 열면 file 프로토콜, remote URL(외부)은 http 프로토콜 사용프로토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한 장치와 ..
상황 설명회사에서 MySQL로 DB를 바꾸면서 코드를 전반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평소에 사소하지만 눈여겨 보고 있었던 리팩토링 희망사항(?)이 있었는데,바로 config에 입력된 수많은 db 테이블들을 go 코드에서 각각 객체로 만들기 위해 또 변수명으로 해당 이름을 재사용(!)한다는 점이다. 말보다는 코드로 보는게 설명이 편할 것 같아 냅다 예시 코드를 가져왔다. (그렇다 원래는 MongoDB를 사용했다.)// config.toml[SomeDB]collectionName1 = "collectionName1"collectionName2 = "collectionName2"collectionName3 = "collectionName3"// config.gotype SomeDB struct {..
Ton텔레그램 커뮤니티의 지지를 받고 있는 블록체인 씬에서 가장 핫한 체인이자 mass adoption 의 잠재력이 가장 높은 체인 여러 발표가 있었지만 인상 깊었던 TonX 발표 위주 정리했습니다.참고로 TonX의 공동창업자인 발표자는 12살에 크립토에 입문해서 13살에 톤에 들어갔다고 하네요.. 천재…?저는 처음 들어보는 신기한 기술들이 많았고 같이 리서치해보면 좋을 키워드들이 많았습니다. TonX는 Ton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팀입니다.2021년부터 Validator, Ton DNS, Ton Storage, Ton Proxy 등의 핵심 기술을 담당했습니다.톤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블록체인입니다. 100,000 TPS 보다 빠르게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고, 이는 페이팔, 비자카드보..
문제 링크: https://neetcode.io/problems/meeting-schedule NeetCode neetcode.io [내 풀이]"""Definition of Interval:class Interval(object): def __init__(self, start, end): self.start = start self.end = end"""class Solution: def canAttendMeetings(self, intervals: List[Interval]) -> bool: intervals.sort(key=lambda x: x.start) for i in range(len(intervals)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