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Books/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캡! 상추다 객체 지향 특성 => 도구 SOLID 설계 원칙 => 도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디자인 패턴 => 요리법, 레시피 이전의 많은 개발자들이 고민하고 정제한 사실 상의 표준 설계 패턴 실제 개발 현장에서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프로그래밍으로 정리하면서 만들어진 다양한 해결책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정한 best practice = 디자인 패턴 스프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디자인 패턴! 스프링 프레임 워크 =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OOP 프레임워크" 나는 지금 객체 지향에서 시작해 스프링으로 향하는 Bottom-Up 학습 중! 디자인 패턴은 객체 지향의 특성 중 상속(extends), 인퍼테이스(interface/implemen..
앞의 3개 장을 통해 객체 지향의 개념과 4대 특성 학습이제 객체 지향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도구 획득!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좋은 도구가 있어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요리를 만드는 작업은 고됨 즉, 객체 지향 언어를 이용해 객체 지향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설계해 나가는 방법이나 원칙을 배워보자! 객체 지향 언어의 시초: Simula67이 1960년 발표되고 50년 이상 세월이 흐름수많은 시행 착오와 best practice 속에서 객체 지향 설계(OOD; Object Oriented Design)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5원칙 집대성 SOLIDSRP(Single Responsib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OCP(Open Closed Principle): 개방 폐쇄 원칙LSP(Li..
객체 지향의 4대 특성을 넘어, 자바가 객체 지향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와 개념 살펴보기 abstract 키워드 - 추상 메서드와 추상 클래스 추상 메서드(Abstract Method) : 선언부는 있는데, 구현부가 없는 메서드 : 추상 메서드를 하나라도 갖고 있는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클래스(Abstact Class)로 선언해야함(추상 메서드 없이도 추상 클래스 선언 가능) 몸체가 없이 선언만 있는 메서드는 왜 필요? package abstractMethod01; public class 동물 { void 울어보세요() { System.out.println("나는 동물! 어떻게 울어야 하나요?"); } } 1. 동물 클래스 인스턴스는 어떻게 울어야함? 소리 내어 울게 하는 것 자체가 논리에 맞지..
객체 지향은 인간 지향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발전사 = 개발자를 더욱 편하고 이롭게 하기 위함, 하이 레벨의 인간을 배려하기 위한 과정 절차적/구조적 프로그래밍 -> 인간이 기계를 이해하려는 노력 필요. 특히 포인터 "왜 우리가 기계 종속적인 개발을 해야 하나?" "우리가 눈으로 보고, 느끼고, 생활하는 현실 세계처럼 프로그래밍할 수 없을까?" -> 객체 지향 개념 탄생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것 "함수" 함수: 코드를 논리적인 단위로 구분, 분할해서 정복 명령어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블록화해서 작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객체"(Object) 모든 만물은 객체들의 합 객체 지향은 직관적; 현실 세계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기 때문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빵빵0
'SW Books/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