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내가 또 왔다.#0은 사실상 포부였다면 #1부터는 진짜 개발을 위한 얘기들을 할 생각이다.개발에 앞선 설계가 더 정확한 표현 같다.그래서 사실 #0 만들자마자 #1를 바로 연달아 쓰고 있다고 보면 된다ㅋㅋㅋㅋㅋ(내가 또 왔어의 비하인드, 근데 나한테만 빠른거고 업로드는 느리게 될거라ㅋㅋ) 리서치(를 빙자한 탐독)과 설계일단 대충 떠오르는 과제들이 몇개 있다. 잊어버릴까봐 그냥 서두에 적어둔다.#0에서 말했듯, 모든 글은 나의 의식의 흐름이다..ㅋㅋㅋ 1. 차익 거래에 대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매수와 매도 행위가 거의 동시에 이뤄져야한다. (매우 짧은 시간 내로!)차익거래를 하겠다고 판단했을 때의 가격와 실제 거래가 이뤄지는 가격에서 차이가 있다면,이익이라고 생각해서 거래를 수락했는데 막상 까고보니..
시작과 포부와 의식의 흐름Project 카테고리에 야심차게 MEV 카테고리를 추가했다. 회사 프로젝트 말고 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거기 때문에 카테고리 분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야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한 나, 대견해)MEV에 대한 개념을 대충 접한 뒤로 "아 너무 재밌겠다." "나도 차익거래로 돈벌고 싶다." 생각을 막연히 했었는데5월에 진짜 시간 다 갈아넣으면서 업무 + 개인적인 개발을 한 뒤로 살짝 번아웃와서 못하고 있다가 이제서야 시작을 한다.MEV에 대해 아는게 솔직히 1도 없다. 그냥 트랜잭션 순서에 따라 차익거래로 돈을 번다, 의 개념 정도만 알고 있다.이 시리즈는 어떻게 보면 약간의 블록체인 베이스의 주니어 개발자가 MEV에 대해 어떻게 지식이 쌓이고 개발을 해나가는지, 성..
서버를 개발하다 보면 데이터를 csv 형태로 내보내는 기능을 구현해야할 때가 있다.특히 통계 데이터나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는 필수적인 기능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제 프로덕션 코드를 기반으로 golang에서 csv 다운로드 API를 구현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자.CSV 파일이란?CSV(Comma Separated Values) 파일은 각각의 데이터 값을 콤마(,)로 구분하는 파일의 형식이다.이 파일은 데이터 레코드로 구성되며, 각 레코드가 테이블의 단일 행에 해당하고, 각 필드는 쉼표로 구분한다.각 열에 어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설명하는 열 머리글은 파일의 첫 줄에 자주 표시한다. JSON Response vs CSV Response일반적으로 API를 개발할 때 우리는 JSON 형태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