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
텔레그램 커뮤니티의 지지를 받고 있는 블록체인 씬에서 가장 핫한 체인이자 mass adoption 의 잠재력이 가장 높은 체인
여러 발표가 있었지만 인상 깊었던 TonX 발표 위주 정리했습니다.
참고로 TonX의 공동창업자인 발표자는 12살에 크립토에 입문해서 13살에 톤에 들어갔다고 하네요.. 천재…?
저는 처음 들어보는 신기한 기술들이 많았고 같이 리서치해보면 좋을 키워드들이 많았습니다.
TonX는 Ton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팀입니다.
2021년부터 Validator, Ton DNS, Ton Storage, Ton Proxy 등의 핵심 기술을 담당했습니다.
톤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블록체인입니다. 100,000 TPS 보다 빠르게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고, 이는 페이팔, 비자카드보다 빠른 속도입니다. (그리고 솔라나, 트론, BNB보다 빠름)
그리고 톤의 역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었습니다.
2019년 11월에 텔레그램 오픈 네트워크(TON) 테스트넷2이 출시되었으며, 50억개의 코인이 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5월, SEC가 텔레그램이 투자자들에게 그램(Gram) 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한 이후, 텔레그램은 TON 생태계에서의 작업을 중단했습니다. 합의금을 지불하고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반환하기로 동의까지 했습니다.
그렇게 톤은 중단된 프로젝트가 될 뻔 했지만, 2020-2021년에 소규모 오픈소스 개발자 팀 NewTON이 TON의 코드 베이스와 아키텍처를 분석해서 TON의 설계 문서에 따라 개발을 재개하게 되었습니다!
2021년 5월 테스트넷2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커뮤니티는 이를 메인넷으로 명명하기로 결정했고, NewTON팀은 Ton Foundation으로 재브랜딩 되었습니다.
사실 그래서 지금의 TON은 텔레그램에서 관리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엄연히 말하면 아니라고 합니다. 다만 텔레그램에서 TON을 지지하고 있는 거라고 합니다!
(저는 당연히 텔레그램이 톤 코인이라는 새로운 수익모델 아이템을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건 아니었나봅니다…)
TON이 이미 가지고 있는 거대한 사용자 그룹을 web3로 끌어들이기 위한, UX 개선 그리고 빌더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확장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팀인 TONX의 목표는 크게 세가지가 있었습니다.
1. 지갑, 토큰, 트랜잭션 최적화
- Jetton 개선
- jetton은 ton 블록체인의 토큰이며 이더리움의 ERC-20과 비슷합니다. 제톤은 TEP-74를 사용했습니다. (톤만의 표준이 있다!!!)
- jetton을 보낼 때 네트워크 수수료로 톤 코인을 지불할 필요가 없습니다. 수수료는 전송되는 Jetton에서 자동으로 공제됩니다.
- 다양한 토큰을 관리하는 복잡성을 줄임으로써 web3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편리성 제공하는게 목표입니다.
- stable coin toolkit
- 빠르고 저렴하며 확장 가능한 TON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개발하는 툴킷
- wallet v5
- 저렴한 수수료, 무제한 발신 메세지, 고급 보안 기능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 Signed External, Signed Internal, Extension Action 이 세가지 유형의 메세지 지원
- 향상된 UX를 위한 분산 확장 및 제3자 가스 지불 시스템
- 저렴한 수수료, 무제한 발신 메세지, 고급 보안 기능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 gasless transaction
- 가스비 없이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기능 도입
- Signed Internal 메세지를 도입하면 사용자를 대신하여 수수료를 지불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이뤄짐.
- 릴레이 아키텍처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가스비를 지불하는 대신 중간 가스 프록시 컨트랙트가 가스비를 처리한다.
- 톤은 사용자가 기본 토큰(Ton coin)을 보유하지 않고도 블록체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대신 거래 수수료는 NOT 코인이나 USDT와 같은 대체 코인으로 충당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UX를 단순화하고 새로운 사용자와 빌더들이 온보딩하는데 장벽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 즉, 플랫폼에서 dapp 접근성과 유용성 향상 (+ 'jetton 개선'의 목표와 비슷)
- 가스비 없이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기능 도입
2. TON 블록체인의 안정성 및 보안
- slashing 최적화
- 성능이 낮은 검증자 감지 및 처벌 개선하여 네트워크 안정성과 성능 향상
- Collator 와 Validator 분리
- validator를 collator와 validator이라는 두개의 개별 노드로 분할하여 TON 블록체인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용량을 향상.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성능 향상.
- collator : 네트워크 일부만을 감시하고 실제 상태를 알고 다음 블록을 collate(generate)하는 actor
- validator: collator로부터 새로운 블록을 받고, 유효성을 검사하고, 지분을 잃을 위험이 있어도 정확성을 보장하는 서명자
- 미래에 톤이 초당 수천건의 거래를 처리하고 수억명의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단일 서버로는 전체 네트워크의 실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음을 염두해두고 설계했습니다. 처리량과 상태 업데이트를 모두 샤딩으로 지원하고 위와 같이 두가지로 역할을 분리하여 해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 현재 테스트넷에서는 이 두 역할 분리를 테스트하는데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일부 validator는 똑같이 작동하고, 일부 validator는 collator로부터 블록을 수신해서 작업합니다.
3. 브릿지를 통한 상호 거래
- TON teleport
- 중개자와 개인키를 제거하는 새로운 크로스 체인 기술. 원활하고 안전한 크로스체인 거래 촉진
- 예를 들어, 비트코인 체인과 톤 체인간의 BTC 전송은 다음과 같이 일어납니다.
- 사용자가 BTC 코인을 톤 체인 지갑으로 보내면, 동일한 양의 BTC 토큰(wBTC 형태를 말하는듯)이 톤 체인에 발행됩니다. 이러한 토큰은 TON dapp에서 사용하거나 실제 BTC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즉, 톤 체인에서 BTC 토큰이 소각이 되어야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원래 BTC가 해제되는 원리입니다.
- 톤은 이 프로세스는 완전 자동화되고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톤은 예제의 BTC 토큰을 소각하는 형태가 아니라 실제 BTC로 거래가 가능하도록 텔레포트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이라고 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검증에서 확인까지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적 오류, 검열, 사기의 가능성을 없애고, 보안을 강화하며 투명성과 자유를 유지합니다. Teleport의 유일한 잠재적 실패 지점은 비트코인 혹은 톤 체인 자체라고 합니다.(뭐 당연히 체인 자체가 불안정하면..ㅋㅋㅋㅋ 그 외에는 실패가 없다는 자신감!) 보안은 오롯이 스마트 컨트렉트 알고리즘에 정확성에 달려있는 것이죠.
- 브릿지
- 현재 TON 브릿지를 업그레이드하여 Jettons, Ether 및 다른 코인과 네트워크 지원.
+) Ton Society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Web3 빌더 교육을 하고, 여러 네트워킹 기회와 개발자들의 온보딩, 유저들과 빌더들 사이의 오프라인 미팅 등을 주선한다고 하네요! 다른 체인들도 이렇게 생태계 구축을 위해 빌더들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BlockChain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KBW] Story Protocol (스토리 프로토콜) Side Event / 세션 후기 (3) | 2024.09.21 |
---|---|
[2024 KBW] 비탈릭 Keynote 세션 후기 (4) | 2024.09.21 |
[2024 KBW] Ethena(에테나) Side Event 후기 (3) | 202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