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 Story Protocol
창작자(크리에이터)들의 권리 보호 및 수익 창출을 관리하는 플랫폼. 전 세계 IP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목표)
지적 재산권(IP)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 중 하나이며, AI 모델, 밈, 내 목소리, 내 모습 등 모든게 해당 됩니다.
현재 우리는 AI가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AI 뿐만 아니라 현재는 여러 SNS를 통해 모두가 쉽게 창작자가 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IP를 리믹싱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의 IP는 인정사정없이 침해당하고 있죠. 이것들은 모두 불법이라고 스토리는 지적합니다. 창작자의 동의도 없었고, IP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지불하지도 않고 무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AI, 그리고 SNS가 창작자의 권리, 수익, 팬들을 앗아간다면 누가 창작을 하고 싶어할까요? 그러나 이런 기술의 발전은 피할 수도 없기에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기반의 IP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게 법률적인 문제입니다.
그러나 현재 IP 거래(라이선스, 로열티 공유)에 너무 많은 마찰(friction)이 있습니다.
IP 를 이용한 거래를 활성화하는 데에는 변호사와 대리인부터 대형 기술 플랫폼까지 중개자(middlemen)이 너무 많습니다.
이는 IP 마켓의 참여자들이 무허가(permissionless) IP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블록체인이 중개자를 없앴듯이, 스토리는 IP와 사용자 사이의 법률 시스템을 없앤다고 하네요!
인터넷의 모든 컨텐츠에 대해 법률팀 없이 IP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거죠.
물론 IP를 온체인으로 가져오려는 시도는 있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NFT인데요, 정적인 JPEG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었죠. 그러나 NFT가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더라도 오프체인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들었습니다. 오프체인 라이선스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서는 해당 IP와 관련된 파생상품이나 리믹스를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스토리 프로토콜은 이런 다른 매체와의 상호 작용이 부족한 JPEG 대신 프로그래밍 가능한 동적이고 확장 가능한 IP를 만드는걸 목표로 합니다. 창작자들은 스토리 프로토콜에 IP를 등록하면, 모든 프로그램이 읽고 쓸 수 있는 일련의 온체인 권한을 선언함으로써 정적인 IP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IP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Story Protocol은 IP를 유동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하여,
AI가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대에 창작자가 지적 재산을 보호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다시 강조 + 트렌드인 AI를 곁들여서..)
스토리는 크리에이터와 AI 개발자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자신의 작품을 라이센싱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개발자는 데이터 셋과 AI 모델을 IP 자산으로 등록하여, 해당 자산들이 사용될 때 로열티를 얻을 수 있습니다.
Input(입력 데이터셋)
스토리 프로토콜은 AI 훈련 데이터의 사용 권한을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합니다.(Rights clearinghouse) 이는 데이터셋이 AI에 의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와 관련한 사용 권한 및 수익화 방안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셋이 AI 학습에 사용된다면 그 사용에 따른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져야하는지를 사전에 정의하여, 데이터 소유자가 그들의 자산을 보다 투명하게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AI 모델
오픈소스 AI 모델들은 다양한 버전으로 분기(fork)되며, 각각의 모델은 새로운 IP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 모델들 역시 소유권과 사용권한이 보호 받아야 합니다.
여기서 IP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IP 그래프는 다양한 AI 모델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각 모델이 어디서 유래되었고, 어떤 버전이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추적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오픈 소스 모델의 기여와 발전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습니다.
Output(출력)
AI 모델이 새로운 IP를 생성하면, 그 IP는 모델 창작자의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스토리 프로토콜에 등록됩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IP의 개념이 적용되여, 해당 모델이 생성하는 모든 결과물이 지식 재산으로 보호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가능한 IP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됨으로써, 새로운 IP가 생성될 때마다 자동으로 기록되고 보호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를 좀 더 기술적으로 살펴보자면,
스토리는 3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L1 블록체인, Proof-of-Creativity 프로토콜, 그리고 PIL(Programmable IP License)
L1은 스토리프로토콜의 토대로서, Consensus Layer는 CometBFT를 기반으로 하여 빠른 확장성 & 저렴한 트랜잭션을 보장합니다. 또한 스토리는 EVM과 호환되기 때문에 개발자는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Story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왜 L2가 아닌 L1을 선택하냐에 대해서도 설명을 했는데 이 부분은 제가 제대로 이해 못해서 메모가 없기 때문에 검색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ㅎ 메모한거라고는 농담뿐.. L1 선택한거 투자 더 받으려고 한거 아니야? 이런 말을 많이 듣는다네여..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2는 중앙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든 롤업은 증명 시스템과 무관하게 단일 시퀀서로 작동한다. 이는 SPOF(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를 야기하며, 무엇보다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의 근본적이 가치와 대립한다.
- 향후 이니시아(Initia)/ 미니시아(Minitia) 모델처럼 blobspace와 맞춤형 데이터를 도입해서 스토리 L1 블록체인 위에 롤업을 구축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싶은데, 이는 L2-L3 모델로는 어렵다.
- 넷플릭스나 디즈니와 같은 대형 IP 기업들을 온보딩하고 그들이 보유한 IP 데이터를 스토리에 통합하고 싶은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IP 기업들이 스토리의 밸리데이터로 참여함으로써 안정적인 토큰 수익을 얻고 장기적인 파트너가 되는 것이다. 이 전략은 단일 시퀀서로 운영되는 롤업 구조에서는 어렵다.
Proof-of-Creativity 프로토콜은 자동화된 로열티 지불과 허가 없는(permissionless) 라이센싱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각각의 IP 자산은 디지털 자산으로 온체인화되고, 관리되며, 다양한 모듈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로 조립될 수 있습니다. 마치 레고 처럼 말이죠! 발표에서도 ‘IP 레고’ 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PIL은 기존의 종이로 이루어진 IP 라이센스 계약을 온체인에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마트 컨트랙트입니다. 법률 문서를 코드로 만든거라고 보면 됩니다. 현실에서도 법적 유효성을 보장 받을 수 있도록 계약서를 설계했으며 IP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따랐다고 합니다.
스토리프로토콜의 플랫폼은 현재 엄청 많은.. 프로젝트들이 온보딩되어 있고 다양한 IP 자산을 구축하여 크나큰 IP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약간 좀 느리지만 Apollo 플랫폼도 잘 돌아가고 AI 이용해서 이미지 만들면 그걸로 티셔츠도 만들어 줬습니다 굿!
굉장히 신선한 아이디어 + 구체적인 솔루션과 현재 진행 상황 + 기깔난 발표력 까지 더해진, 개인적으로 kbw 기간 통틀어서 가장 인상깊었던 발표였습니다.
이전부터 그림 작가분들이 AI에게 자신의 고유 그림체를 뺏겼다, 무단으로 자신의 그림을 데이터셋으로 활용했다고 고통을 호소했던 글들을 많이 보면서 이런 IP 사용을 추적하고 보상을 주는 시스템이 있으면 정말 좋겠는데, 이 망망대해 같은 인터넷 세상에서 그게 가능할까 싶었는데요.
그걸 블록체인을 사용해 구체화해내고만 스토리 프로토콜이 진짜 대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계속 와와 하면서 들었어요ㅋㅋㅋ 발표 넘 재밌었습니다.자신의 IP를 지키고 싶은 창작자들이 스토리 프로토콜로 몰려들 것은 자명한 일이고, 스토리가 발표에서 말한 것들을 기술로 구현만하다면 블록체인 업계의 ChatGPT 같은 존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BlockChain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KBW] Ton(톤) Side Event 후기 (3) | 2024.10.03 |
---|---|
[2024 KBW] 비탈릭 Keynote 세션 후기 (4) | 2024.09.21 |
[2024 KBW] Ethena(에테나) Side Event 후기 (3) | 2024.09.15 |